퇴직연금 디폴트 옵션의 단점 - 아미고파파
카테고리 없음 / / 2022. 10. 23. 22:26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의 단점

반응형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

 

우리나라 국민의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직장인인만큼 퇴직했을 때 발생하는 퇴직연금에 대한 마음의 안정은 매우 큰 편입니다. 요즘 재테크에 대한 관심도가 하늘을 찌를만큼 올랐기에 퇴직연금에 대해 적극적인 투자를 하고 싶기도 하지만 반면에 내 소중한 퇴직금을 함부로 투자하기에는 또 마음이 불편한게 현실입니다.

이런 불편한 현실속에서 올해 7월부터 도입이 된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은 도대체 무엇이고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해야 퇴직금에 대한 마음의 안정을 이어갈 수 있는지 아래 글을 통해서 세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목차
1.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의 이해
2.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 단점
3.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의 적용
4.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의 다른 나라의 예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의 이해

우리나라의 퇴직연금의 유형은 3가지가 있으며 DB, DC 그리고 IRP 이렇게 세종류가 있습니다.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

 

사진에서와 같이 우리나라 직장인의 대부분은 DB형을 선택하고 있고 이 방법은 쉽게 말해 본인의 쌓여가는 퇴직금을 회사가 운용함으로써 근로자 입장으로는 자신의 급여수준에 맞는 수준의 퇴직금을 안전하게 회사에 맡기다가 퇴직연금 수령시기에 다시 수령하는 방법입니다. 반면에 DC형과 IRP의 경우 회사가 아닌 근로자 자신이 직접 퇴직급여를 운용하고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그렇기에 개인에 따라 어떤 상품을  따라 수익률이 달라지는 방법입니다.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퇴직연금 디폴트 옵션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

 

DC형과 IRP의 경우 언급한대로 본인이 직접 돈을 굴려야 하는 입장인데 항상 바쁜 우리 직장인들은 일일이 투자상품을 고르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DC형과 IRP형을 선택한 직장인들도 결국 은행 예금 같은 안전하고 수익률이 현저히 낮은 상품을 고르는게 현실입니다.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퇴직연금 디폴트 옵션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

 

그렇기에 2022년 7월 12일부터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이 국내에 도입이 되었습니다. 대부분 선진국에서는 일찍이 시작한 이 제도는 이렇게 수익률 낮은 상품에서 버티고 있는 퇴직연금이 일정 기간동안 다른 운용지시가 없으면 가입자가 미리 정한 상품에 자동으로 가입되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의 취지는 퇴직연금을 단지 은행 계좌같이 수익률이 낮은 상품에 넣어놓는 근로자들이 많기에 상품을 자동적으로 운용을 해서 돈을 굴리라는 취지입니다. 하지만 서두에서 언급했듯이 이 역시 투자의 한 종류이기에 무턱대고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을 선택해 투자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퇴직연금 디폴트 옵션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

 

우리나라는 아직 확실한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에 대한 정해짐은 없으나 퇴직연금의 수익률이 가장 높은 연금 선진국 미국의 사례를 본다면 아마도 TDF라는 금융상품이 선정 될 확률이 가장 높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라고 합니다.

TDF란, Target Date Fund라 하여 근로자의 연령에 따라서 주식 등 위험 자산의 비중을 조절하는 상품을 말합니다. 말은 어렵지만 나이가 들어갈수록 위험자산의 비율을 낮추고 안전 자산의 비율을 높여가는 상품입니다.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퇴직연금 디폴트 옵션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

 

그렇다면 이런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에 대해서 단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 단점

✔️ 원금 보장이 어려움

DC형과 IRP형에 가입된 퇴직연금 적립금을 자신에게 적합한 포트폴리오에 맞춰 자금을 운용하는 방법이기에 일종의 투자이기도 합니다. 그렇기에 원금 보장은 당연히 어렵습니다. 

 

👉 투자의 개념이기에 원금 보장은 어렵지만 연금 선진국인 미국의 사례를 본다면 원금 보장의 안정적인 유형의 포트폴리오만 운용을 했을 때 수익률이 평균 연 1~2%대 이지만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의 도입으로 수익률이 연 6~8%까지 올라있는 상태입니다. 따라서 같은 투자의 개념이지만 안정적인 유형의 투자보다는 평균적으로 수익률이 더 높은 상태입니다. 추가로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의 상품 중에서도 원리금보장형이 있기에 단점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 일반적인 생애주기에 대한 상품 운용

위에서 언급한대로 생애주기에 따라 저절로 정해지는 포트폴리오로 상품이 운용이 됩니다. 그렇기에 일반적인 생애주기인 나이가 적을때는 공격적인 투자의 성향이 강하고, 나이가 많은 때는 안정적인 투자의 성향이 강한 전체적인 포트폴리오가 형성되어 있기에 나이가 적을때 안정적인 투자를 하고싶은 가입자, 그리고 나이가 많을 때 공격적인 투자를 하고 싶은 가입자에게는 방향이 다를 수 있습니다.

 

👉 사람마다 투자의 성향은 다를 수 있지만 많은 사람들의 평균적인 데이터로 보았을 때 일반적인 생애주기에 맞는 포트폴리오가 존재 하는 것입니다. 또 그것에 맞는 투자이기에 원금 보장형의 상품보다는 수익률이 더 높다는 데이터가 존재 하는 것입니다. 추가로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을 미리 정했더라도 기존에 자신이 투자하고 있는 상품을 계속 유지할 수도 있습니다.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의 적용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을 운용할 경우 기존 퇴직연금의 가입자의 경우와 새로 가입하는 신규 가입자의 경우 이렇게 2가지로 나눠서 볼 수 있습니다.

 

1) 기존 퇴직연금의 가입자의 경우

기존 본인이 가입했던 상품의 만기가 도래하게 되면 새로운 상품 운용지시를 내려야 합니다.

만약 4주 동안 새로운 상품 운용지시를 내리지 않는다면, 본인이 가입한 금융회사로부터 '2주이내에 새로운 상품 운용지시를 하지 않을 경우 해당 퇴직적립금이 디폴트 옵션으로 운용됨'을 고지를 받게 됩니다.

그리고 추가로 2주동안 새로운 상품 운용지시가 없다면 총 6주의 시간이 지난 시점에 가입자가 사전에 결정한 상품으로 자동으로 운용지시가 되는 디폴트 옵션이 이 떄 적용됩니다.

 

2) 새로 가입하는 신규 가입자의 경우

처음 DC형 또는 IRP형 퇴직연금에 가입한 신규 가입자는 즉시 상품의 종류와 상품의 운용방법을 결정해야 합니다.

만약에 가입 후 2주 동안 운용방법을 결정하지 않았다면 즉시 디폴트 옵션이 적용되어 사전에 가입자가 정해둔 운용 방법으로 자동으로 해당 퇴직적립금이 운용됩니다.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의 다른 나라의 예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에 대한민국을 포함한 4개국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선진국이 이미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을 시행중에 있습니다. 이미 빠르게 퇴직 연금 디폴트 옵션을 도입한 나라는 평균적으로 연평균 6~8%의 수익률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호주와 미국 등의 국가에서는 가입자의 80% 이상이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을 선택하였습니다.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의 성공적인 사례를 보여주고 있는 호주는 '마이슈퍼'라고 불리는 상품을 의무화시켜서 비교적 높은 퇴직연금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호주에서는 자산 구성부터 운용/수익률/투자의 리스크 수준 등의 많은 정보를 한 플랫폼에 공지함으로써 가입자로 하여금 한눈에 상품을 비교하고 선택할 수 있게 좋은 시스템을 갖춰놓고 있습니다.

 

추가로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이 매우 활성화되어있는 미국은 대표적인 퇴직연금제도인 '401(k)'를 운영하여 가입부터 운용상품의 선택까지 지원을 해줌으로써 가입을 독려하여 가입자로 하여금 너무나 편하게 선택할 수 있게끔 마찬가지로 좋은 시스템을 갖춰놓고 있습니다.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퇴직연금 디폴트 옵션퇴직연금 디폴트 옵션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퇴직연금 디폴트 옵션퇴직연금 디폴트 옵션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