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산 역류 증상 응급처치 - 아미고파파
카테고리 없음 / / 2022. 12. 8. 19:43

위산 역류 증상 응급처치

반응형

 

가끔씩 위산 역류로 고생을 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속쓰림과 동시에 위산이 식도로 역류를 하게 되면 동반되는 고통과 불쾌함은 정말이지 그동안 왜 '위' 관리를 이렇게 했을까 후회가 막심하기도 합니다.

 

명치 부위에 깊게 오는 통증인 위산 역류는 자칫하면 만성으로까지 올 수 있기에 주의해야 합니다. 아래 글을 통해서 위산 역류 증상과 원인 그리고 위산 역류가 생겼을 때 응급처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위산 역류 증상
위산 역류 증상

 

위산 역류 증상

위산 역류 증상으로는 기본적으로 식도와 흉부에서 타는 듯한 고통이 느껴지는 것을 말합니다. 보통 바닥에 눕는 자세를 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위산이 가슴과 식도쪽으로 역류를 하게 되지만 꼭 눕는 자세를 하고 있지 않고 서있는 자세여도 가슴에 통증이 있는 위산 역류 증상을 느끼곤 합니다.

 

 

경우에 따라서 청소년들도 위산 역류 증상을 느끼지만 나이가 들수록 위산 역류 증상을 느끼는 사람이 더 많습니다. 이유는 나이가 들수록 위산의 역류 현상을 막는 기능이 쇠약해 지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불편한 위산 역류 증상은 가슴 통증 말고도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 식도 뒷부분에 삼키기 어려운 짠맛의 액체가 느껴짐
  • 무언가를 삼키기 어렵고 삼켰을 때 통증이 동반
  • 호흡 할 때 쌕쌕거리는 소리
  • 복부에서 꾸르륵하는 소리
  • 목이 따갑고 지속적으로 기침

 

위산 역류 원인

 

 

👉 과식

 

과식은 결국 위안에 음식물이 가득차게 될 것이고 몸은 그로 인해서 많은 위산의 분비를 촉진하게 됩니다. 그로 인해 자연스럽게 위산 역류가 심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식사를 할때는 많은 양을 한꺼번에 먹기보다는 적은양을 자주 먹는 것을 전문가들은 추천하고 있습니다.

 

👉 맵거나 기름진 음식의 잦은 섭취

 

음식 중에서도 맵거나 기름진 음식은 위산 역류를 촉진합니다. 주변을 보면 유독 이러한 속쓰림 음식을 즐겨찾는 사람이 많습니다. 위산 역류 증상을 느낀다면 이러한 종류의 음식은 당분간 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 흡연과 비만

 

니코틴은 하부 식도 괄약근을 느슨하게 만들어 열릴 확률을 증가시킵니다. 비만 역시 위에 많은 압박을 가하고 마찬가지로 하부 식도 괄약근을 느슨하게 만들게 되며 이 결과 열린 괄약근 사이로 위산이 역류하게 됩니다.

 

 

위산 역류 응급처치

위산 역류의 응급처치로는 개비스콘과 같은 약이 집에 구비해 놓은 상태라면 바로 복용을 함으로써 증상 완화 효과를 느낄 수 있고 다른 방법으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 목 중간과 흉쇄유돌근이 만나는 위치인 부돌혈을 눌러줍니다. (부돌혈을 눌렀을 때 아프다면 역류성 식도염 발병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부돌혈을 5초간 누르고 이를 3회 반복합니다.

 

위산 역류 증상
위산 역류 증상

 

👉 목을 앞으로 숙였을 떄 뒷목에 튀어나오는 위치인 대추혈을 눌러줍니다. 마찬가지로 대추혈도 5초간 누르고 이를 3회 반복합니다.

 

위산 역류 증상
위산 역류 증상

 

 

* 잘못된 응급처치

 

👉 위산 역류 증상이 발생하는데 우유를 마시는 방법?

우유 안에 있는 칼슘성분은 오히려 위산분비를 촉진시키고 그 결과 위산 역류를 더욱더 가중시키기에 위산 역류 증상을 느꼈을 때는 우유를 마시지 말아야 합니다.

 

👉 위산 역류 증상 시 제산제 복용 방법?

증상을 느낄 때 몸이 반응해서 즉각적으로 제산제를 복용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당장 역류하는 위산의 분비는 막기에 속이 편안함을 느끼지만 제산제 복용이 과하게 되면 적절한 위산 분비가 이루어지지 않기에 문제가 생깁니다.

 

 

위산 역류는 기본적으로 생활패턴에서 오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위산 역류를 경험하면 자신의 생활패턴을 다시 바라 볼 수 있어야 할 것이고 더불어서 시중에 나와있는 여러 영양제 또한 생각해 볼 수 있겠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